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투자 심사 보고서 – [47강] VC투자 프로세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experience-porthcawl.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experience-porthcawl.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서울창업허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60회 및 좋아요 2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47강] VC투자 프로세스 –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VC, 투자심사보고서의 작성 – 스마투스 비즈니스 리뷰
투자심사보고서는 이 투자 승인절차에서 투자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열리는 투자심사위원회에 사용되는 보고서이고,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투자심사 …
Source: www.sbr.ai
Date Published: 9/13/2022
View: 2163
투자심사보고서 및 투자계약서
투심보고서”( 투자심사보고서)는 회사의 사업계획서 검토가 완료 되고 각 종 계약 및 재무 전반에 대한 실사가 완료 되면 담당 투자 심사역은 “투심 …
Source: dodaeri.tistory.com
Date Published: 6/8/2022
View: 5333
총각네 야채가게 투자심사보고서 ※ 본 보고서는 미래에셋벤처 …
총각네 야채가게 투자심사보고서 2007. 10. 25 ※ 본 보고서는 미래에셋벤처투자에서 작성된 것으로 미래에셋벤처투자의 허가없이 제3자에게 전달할 경우 법적인 책임을 …
Source: slidesplayer.org
Date Published: 2/24/2022
View: 6845
투자 심사 보고서 주식회사 알파벳 – Academia.edu
투자 심사 보고서 주식회사 알파벳 투자 요약 투자 형태 전환상환우선주(RCPS) 투자 금액 총 05억원 투자 후 기업 가치 총 35억원 최종 투자 판단 현 시점 투자 부적격 …
Source: www.academia.edu
Date Published: 11/4/2021
View: 222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심사하는 투자심사역의 실제 업무 체험하기
또한 멘티 여러분들께서 투자심사보고서를 멋지게 완성했을 경우, 이후 취업 면접에서 여러분의 포트폴리오 일부로 제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정말 좋은 스타트업 …
Source: comento.kr
Date Published: 3/10/2021
View: 9404
투자심사보고서 – BRIC
아미노룩스 투자건에 대한 회사현황 및 기술에 대한 참고자료>. 참고자료1. 1. ㈜ 아미노룩스 회사 일반 현황. 1) 기업개요. 항 목, 주 요 내 용.
Source: www.ibric.org
Date Published: 4/27/2021
View: 5283
투자형 심화교육 PART 01 투자심사보고서 작성전략 – 와디즈
투자형 심화교육 PART 01 투자심사보고서 작성전략. 본 강좌는 심화과정으로서, 간편신청 승인 기업에 한해 수강이 가능합니다. 강의 날짜: 2018년 06월 28일(목).
Source: www.wadiz.kr
Date Published: 4/19/2021
View: 7137
한국성장금융 출자펀드 사후관리 GUIDELINE
자본시장법상집합투자기구의경우투자심사보고서/준법감시보고서첨부. ③약정액/기납입액/금번납입요청액. ④납입요청일. ⑤입금계좌사본첨부.
Source: m.kgrowth.or.kr
Date Published: 1/7/2022
View: 5794
쿼타북 블로그 – 투자유치 실사와 투자심의위원회 – QuotaBook
투자유치 │ 스타트업 IR 이후 실사와 투자심의위원회 진행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 방문 후 보고서 작성에 1~2주가 소요되므로 회계 실사 요청 후 완료까지 2~6 …
Source: www.quotabook.com
Date Published: 4/9/2022
View: 788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47강] VC투자 프로세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47강] VC투자 프로세스](https://i.ytimg.com/vi/FwAah57SlLc/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투자 심사 보고서
- Author: 서울창업허브
- Views: 조회수 860회
- Likes: 좋아요 23개
- Date Published: 2020. 12.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FwAah57SlLc
VC, 투자심사보고서의 작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는 벤처캐피탈에 대해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은 약간 레벨을 높여서 실무적인 이야기를 해보려 하며, 제목과 같이 투자심사보고서를 어떻게 작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벤처펀드는 펀드구조 설계부터 펀드 청산까지 짧게는 7년, 길게 10년까지 소요되는 장기 폐쇄형 펀드이므로 특히 신중한 투자의사결정이 요구됩니다. 처음 투자 판단의 결정이 투자의 성패로 이어지므로 이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게 되고, 투자기업 발굴 및 사전검토부터 사후관리 및 회수까지 세분화된 투자 승인절차를 거쳐 투자의 승인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투자심사보고서는 이 투자 승인절차에서 투자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열리는 투자심사위원회에 사용되는 보고서이고,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투자심사위원회는 1차, 2차 예비 투자심사위원회, 최종 투자심사위원회 등의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지기도 합니다.
심사보고서는 일반적으로 Executive Summary, 투자조건, 회사개요, 사업현황, 산업분석, 수익률 분석, 종합의견 등으로 구성됩니다. 보고서의 작성 목적은 내가 발굴한 회사에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VC 내부의 다른 파트너와 심사역을 설득하기 위함이므로 설득력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1. Cover
일반적으로 발굴, 심사, 사후관리 담당자를 명시하며 인센티브 산정을 위한 기준 및 운용인력 산정의 근거가 됩니다.
2. Executive Summary
투자개요는 3페이지 내로 작성하며 보고서의 요약본으로 투자 포인트(Investment Highlight)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3. 투자조건
투자하는 조건의 적정성을 심사할 수 있도록 투자금액, 기업가치, 투자형태, 특약조건 등 주요 투자조건을 명시합니다. 세부적으로 주식의 성격, 전환권 및 전환가에 대한 내용, 상환 조건 등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4. 투자 회사의 개요
연혁, 주주구성, 경영진, 재무현황 등 투자받는 회사의 내용을 작성합니다. 회사의 지분 현황, 우호지분 파악, CB, BW 등의 지분희석 요인과 창업자 및 팀의 핵심역량, 팀워크, 경영진의 책임과 권한 등의 내용을 제시합니다.
5. 사업현황
사업의 개요, 제품 및 서비스 현황, 재무 현황의 분석, 기술력, 차별적 경쟁력 등과 사업의 본질적인 부분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술합니다. 특히 창업자가 향후 이루고자 하는 회사의 모습 및 지향하는 바를 포함하며 위험요인과 향후 사업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6. 산업분석
시장규모, 시장의 성장성, 경쟁자 분석의 내용을 담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투자대상기업이 속한 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 잠재적인 시장의 크기가 충분히 매력적임을 어필합니다. 또한 직/간접적 경쟁자의 분석과 진입장벽이 있는 우위인지 차별적 경쟁력이 무엇인지 기술합니다.
7. Valuation 및 수익률
회사의 손익계산서를 기준으로 미래가치를 추정하여 회사의 Valuation을 결정하고 투자금 회수전략을 수립하여 예상수익률을 분석합니다. 기업의 가치평가와 관련해서는 다른편에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8. 종합의견
1~2페이지 정도로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합니다. 투자포인트, 투자리스크 및 투자 심사역의 종합적인 의견을 Summary 하며 투자심사보고서를 마무리합니다.
필자는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VC MBA 석사과정을 수학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배우고 이해한 내용을 토대로 간략히 요약하여 글을 쓰고 있습니다. 필자와 같이 벤처캐피탈을 처음 접하거나 이미 업계에서 전문직으로 활동하는 분을 포함하여 모든 관심있는 분들에게 VC 전문화된 내용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현재 사회의 주도적인 변화를 이끌어 나가는 인공지능(AI), 암호화폐, 메타버스 및 NFT의 분야도 교육에 포함되어 있어 관련된 전문지식도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좋은 과정입니다.
위 내용은 필자가 수업을 받으면서 느낀 개인적인 자랑과 소개입니다. (학교측에서는 여기에 소개하는 것을 알지 못하시겠지만, 교수님들 혹시라도 이 글을 보시면 학점 좀 잘… ㅎㅎ) 학생으로서의 느낌이 잘 전달되었을지 한편 궁금하며 이처럼 좋은 교육과 훌륭한 인맥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공유드립니다.
지금 2022년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다고 하니 관심있으신 독자들은 용기내시기를 응원하며 다음 글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심사보고서 및 투자계약서
■ 투자심사보고서 이해
“투심보고서”( 투자심사보고서)는 회사의 사업계획서 검토가 완료 되고 각 종 계약 및 재무 전반에 대한 실사가 완료 되면 담당 투자 심사역은 “투심보고서”를 작성합니다. “투심보고서”는 정형화 된 양식은 없고 벤처캐피탈 혹은 투자 심사역 마다 고유의 선호하는 형식과 기준이 있습니다.
또한 업종이나 기술에 따라 조금씩 내용을 다르게 작성합니다. “투심보고서” 작성은 투자 심사역이 가장 신경을 써서 작성하는 부분입니다. “투심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회사 담당자나 대표님에게 지속적으로 자료를 요구하거나 질문을 하게 됩니다.
“투심보고서” 작성은 담당 투자 심사역이 작성하는 만큼 회사와 관계 없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투심보고서”가 잘 작성될 수 있도록 최대한 업무 지원을 해 주셔야 합니다. 이 “투심보고서”를 가지고 투사 심의를 걸쳐 최종 투자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심보고서”을 이해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 한다면 투자 심사역도 “투심보고서”를 원활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투심보고서” 내용은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입니다.
1. Executive Summary
“투자개요”는 투자금과 투자재원 그리고 투자 조건 등을 일목요연하게 작성합니다. 아래는 실제 투자를 진행한 회사에 대한 투자개요 내용입니다. 게임 회사에 대한 투자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발행하고 투자금은 약5억원입니다.
투자조건 및 특약사항 그리고 Re-fixing조건, 상환조건, 투자금의 사용용도 등 투자에 대한 모든 내용이 요약 되어 있습니다. 이 내용은 “투심보고서” 작성후 투자 심의를 통과 하면 투자 계약서를 작성 하는데 그 투자 계약서 내용에도 동일하게 세부적으로 들어갑니다.
“Investment Highlight”는 투자로 인한 기대수익률과 Exit방안 그리고 투자 회사 사업에 대한 유리한 점과 예상되는 Risk 등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등을 제시합니다. 결국 이 회사에 투자를 해서 얼마 만큼의 수익이 예상 되고, 언제쯤 회수가 가능한 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2. Company Overview
투자 대상 회사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보여줍니다. 회사개요, 연혁, 경영진 및 주주현황, 자본금 증감 내역, 주요 재무현황, 각 종 계약 내용 및 지적 재산권 현황 등을 작성합니다. 회사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사업계획서 작성시 이러한 내용을 모두 포함시켜 작성하시면 편리합니다.
3. 사업성 검토
투자 대상 회사에 대한 사업성 검토내용입니다. 사업개요, 사업현황, 시장현황, 산업분석, 경영현황 등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합니다. 이 부분에서 시장현황에 대한 내용이 중요합니다. 사업계획이 시장 상황에 잘 맞는지와 사업성이 충분 한지를 객관적인 시각에서 작성되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 회사 제품이나 서비스는 우리 회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만큼 투자 유치에 유리 하도록 각 종 자료와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 있으면 사업성을 검토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 재무제표 검토
회사에서 제시한 재무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 합계잔액시산표 등)를 실사한 “실사보고서”를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검토합니다. 과거의 매출 실적과 비용 등이 회계기준에 맞게 회계처리가 되었는지와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게 됩니다.
회계 실사 과정에서 일부 금액이 조정되기도 하기 때문에 실사를 실시하는 경우 회사에 유리한 재무제표가 되도록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 그리고 차입금, 대여금, 가수 및 가지급금에 대한 부분은 명확하게 해야 합니다.
기존 재무제표에 대한 부분 보다 향후 실적에 대한 추정 매출 및 재무제표 자료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3년에서 5년간 추정 실적을 요구합니다. 대부분 벤처캐피탈은 향후 3개년말 매출과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벤처캐피탈에서 주로 시용하는 가치 평가 방법은 대용 또는 비교 그룹을 기준으로 합니다. 아래는 상장사 기준 게임 관련 회사를 가지고 회사의 주식 가치를 산정한 내용입니다. 상장사 자료와 최근 비교 그룹의 M&A 결과 등을 고려 하여 가치를 산정합니다.
비교 그룹 상장사의 가치 평가 기준이 PER입니다. 일정 시점에서 기준을 잡을 수도 있지만 보다 정확성을 위해서 비교 그룹의 각 업체별 52주의 평균 PER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높거나 마이너스 PER는 비교 대상에서 제외하고 평균 PER를 가지고 적용합니다.
아래 예시는 게임 업체 PER 평균은 현재 20.8로 형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교 그룹 선정이나 평균 PER를 적용하는 경우 투자 심사역의 주관적인 의견을 반영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이 있다고만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5. 투자 수익성 분석
재무제표 검토에서 작성한 향후 3년 내지 5년간의 예상 매출과 수익을 가지고 벤처캐피탈 입장에서 수익성을 검토 분석합니다. 벤처캐피탈 투자 목적은 성공적인 Exit에 있습니다. 따라서 펀드 존속 기간 내에 수익성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투자 심사역은 회사에서 제시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합니다. 향후 실적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기반으로 보수적인 입장에서 추정해 보는 것입니다. 이 경우 회사가 제시한 추정 매출과 수익에 대해 20%~30% 할인하여 투자 회사에 대한 기대수익률을 산정하게 됩니다.
6. 투자개요
투자개요는 Executive Summary 내용과 중복 되는 경우에는 생략 하거나 투자 계약서 내용을 좀 더 상세하게 명시 하기도 합니다. 위 “투자개요” 예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7. 종합의견
마지막으로 투자 심사역은 투자 회사 및 사업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Summary 합니다. 투자 심사역이 투자에 대한 의지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 투자계약서 검토
“투심보고서”을 기반으로 투자심의가 통과 되면 “투자계약서”를 검토합니다. 계약서에 포함되는 중요한 조건들은 투자 심사를 진행하면서 대부분 결정됩니다. 투자계약서 구조를 보면 투자자(벤처캐피탈)와 투자 대상 기업 그리고 이해관계인으로 구분 됩니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이해관계인”입니다. 이해관계인은 창업자, 대표이사, 대주주가 있습니다. 투자 계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인을 계약 당사자로 하여 연대 보증을 세우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사전에 이해관계인에 대한 계약서 포함 여부를 투자 심사역과 협의 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창업자나 대표이사의 경우 별 다른 이견이 없지만 대주주의 경우 계약서 포함에 거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료) 한국벤처투자(주)
벤처캐피탈의 투자 유형은 채권적 투자와 자본적 투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채권적 투자의 경우 약 3년 뒤 원금과 이자를 회수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물론 계약기간 중 또는 계약 기간 종료시에 회사의 가치가 많이 올라 갔다면 전환사채(CB)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의 경우 주식으로 전환할 확률이 높습니다.
자본적 투자의 경우에는 회사의 주식으로 참여하게 되기 때문에 상환 보다 주식 가치에 중점을 두고 투자하게 됩니다. 두가지 방법중 어느 방법이 유리하고 불리한 방법인지 확답할 수 없고 회사의 상황에 알맞는 방법으로 투자 심사역과 협의 하시기 바랍니다. 채권적 투자와 자본적 투자를 섞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 “투자계약서” 목차 내용은 한국벤처투자(주)에서 제공하는 “투자계약서해설서” 내용입니다. 투자계약서 체결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들어 가야 할 계약 내용을 정리하여 해설서로 제공 하고 있습니다.
내용이 복잡해 보이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이해하기 쉽습니다.
투자계약서는 투심보고서상의 투자 개요를 기준으로 작성 됩니다. 결국 투심보고서 투자개요을 상세하게 풀어서 작성한 계약서라 보시면 됩니다. 중요한 사항은 투자개요에 다 있으며 나머지는 일반적인 계약 내용으로 보시고 세부 내용은 한국벤처투자(주) 자료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 계약서는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통한 투자 유치 계약서 내용입니다. 따라서 벤처캐피탈의 투자 유형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주의 인수에 관한 사항” 과 “종류주식의 내용”에 관한 계약 내용입니다. 신주 발행 사항과 투자 선행 조건 그리고 진술과 보장 및 거래의 완결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종류 주식의 내용은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배당, 전환, 상환 등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내용을 구체화 하여 명시한 계약 내용입니다.
“거래완결 후 회사 경영에 관한 사항”은 대표님이 유심히 살펴 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사전에 협의 된 투자금의 용도 및 제한 내용과 임원의 지명, 경영에 대한 사전 보고 및 동의 사항 등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조항의 사항은 주기적 또는 상황 발생시 보고 또는 동의를 구하는 내용으로 신경을 쓰지 못할 경우 계약 위반의 빌미를 제공 할 수도 있습니다.
“거래완결 후 지분의 처분에 관한 사항”은 투자자의 주식을 처분하는 경우 이해관계인의 우선권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해관계인의 지분을 처분할 경우 투자자의 우선매수권과 공동매도 참여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계약위반에 대한 책임”은 투자계약서 내용을 위반시 위약벌과 손해배상 그리고 지연 배상금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계약의 일반 사항”은 통상적으로 계약서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특약사항”이 있는 경우 그 효력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조항입니다.
그리고 별지로 “진술과 보장” “투자금의 사용용도 및 실사약정” 내용이 있으며 첨부로 퇴사제한 및 겸업금지 약정서가 있습니다.
■ 결언
“투심보고서”는 벤처캐피탈 투자 심사역이 작성하는 부분입니다. 다만 투심보고서가 잘 작성 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서 내용이 충실해야 합니다. 투자 유치를 진행하시는 과정에서 사업계획서 작성 담당자는 위의 내용을 알고 계신다면 투자 심사역이 투심보고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사업계획서 내용이 부실하면 담당 심사역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그 만큼 투자 유치 과정이 길어지게 되겠지요!
“투자계약서”는 사전에 투자 유지 실사 과정에서 많은 부분 합의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종 투자 계약을 체결 하는 시점에서 사전 조율 조건이 불리한 경우에는 반드시 다시 한번 투자 심사역과 협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계약이 체결되고 투자금이 들어오면 아무리 불리한 계약 조항이라고 할지라도 계약서 대로 이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총각네 야채가게 투자심사보고서 ※ 본 보고서는 미래에셋벤처투자에서 작성된 것으로 미래에셋벤처투자의 허가없이 제3자에게 전달할 경우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할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We think you have liked this presentation. If you wish to download it, please recommend it to your friends in any social system. Share buttons are a little bit lower. Thank you!
Buttons:
투자 심사 보고서 주식회사 알파벳
Academia.edu no longer supports Internet Explorer.
To browse Academia.edu and the wider internet faster and more securely, please take a few seconds to upgrade your browser.
투자형 심화교육 PART 01 투자심사보고서 작성전략
본 강좌는 심화과정으로서, 간편신청 승인 기업에 한해 수강이 가능합니다.
펀딩 성공에 도움되는 기획전 및 행사 정보, 업계 동향과 트렌트에 대해 알려드리는 펀딩 메이커님을 위한 맞춤 뉴스입니다.
・항목: 신청자 정보(이름,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소속) ・목적: 스쿨 강의 신청 정보 확인 ・보유기간: 회원 탈퇴 또는 동의 철회 시 까지
현재 준비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상세하게 설명해주세요.
소속되어 있는 기업명, 기관명, 단체명을 작성해주세요.
입력하신 주소로 안내메일이 발송됩니다.
실명으로 입력해주세요.
“신청서 내용을 반드시 상세히 적어 주세요. 신청서 내용에 대한 설명이 부실하면 수강 신청이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스쿨 신청 과정
01 신청서 작성 02 신청완료
“보증금은 강의 참석 후, 영업일 3-5일 이내에 카드 취소처리 되어 환급됩니다. 불참시, 보증금은 환급되지 않습니다. 신청 취소는 강의일 1일 전인 2015. 02. 14 까지만 가능합니다.”
01 결제수단 선택 신용/체크카드
투자유치 실사와 투자심의위원회
안녕하세요, 쿼타북입니다.
오늘은 ‘실사(Due Diligence)와 투자심의위원회’에 대한 정보들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실사의 종류와 기간, 투자심의위원회의 단계별 특징 등 실무 시 알아야 할 유익한 정보들과 Tip들을 담았습니다.
* 간단한 글을 위해 투자 검토 대상이 되는 창업 회사들을 ‘회사’로, 투자를 검토하는 투자사는 ‘투자사’로 지칭하겠습니다.
1. 먼저 ‘실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R이 진행된 후 추가 검토가 결정되면, 이때부터 본격적인 심사역들의 ‘자료 요청’이 시작됩니다. 기업 초기에는 창업자와 팀의 가능성이 투자 검토의 핵심이기 때문에, 자료(서류)를 통해 확인하거나 보여줄 내용이 적은 편입니다. 하지만 기업이 성장할수록 회계, 재무, 경영 등의 여러 내부 관리 체계가 구축됨에 따라 서류로 살펴볼 부분이 많아집니다. 특히 상장이 가능하려면 회사의 각 체계들이 외부에 증빙 가능한 수준으로 구축되어야 합니다. 투자를 검토하는 입장에서는 정말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죠.
다양한 요청에 따른 서류들을 구비해 나가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롭고 귀찮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 ‘회사의 성장을 위해 구비할 항목들을 엿보는 기회’라고 여기시며, 내부적으로 비어있는 부분들을 차츰 채워나가 주세요.
실사는 이메일 회신으로만 갈음하기도 하고 현장 방문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단독 또는 3~5명의 사람들이 실사를 담당하거나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 가장 다르게 느껴지는 형태는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투자 유치와 관련하여) 벤처캐피탈에 의해 자체 진행되는 실사 2. 회계법인을 통해 진행되는 실사
1) 벤처캐피탈 자체 실사
아직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사를 검토하고자 하는 목표로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심사역이 Due Diligence 리스트를 회사에 요청하고, 회사가 서류를 갖추어 회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Due Diligence 양식 다운로드
간혹 심사역에 따라 회사 방문 및 전체 구성원에 대한 인터뷰를 함께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벤처캐피탈의 관리팀에서 실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모두 기업적 역량과 리스크 관리, 이해 상충 방지 등을 검토하고 투자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 쿼타북 Tip)
회신 보낸 서류를 얼마나 빠르게 확인하는지를 통해 심사역의 관심도를 알 수 있습니다. 쿼타북의 데이터룸을 활용하시면 언제, 어떤 서류를 확인했는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실 수 있습니다! 🙂
반응 시간 별 관심도
쿼타북 데이터룸 – 열람 이력 화면
2) 회계법인을 통한 실사
회계법인을 고용하여 이루어지는 실사로, 별도의 자금 집행이 필요하기 때문에 ‘투자하려는 회사가 회계적인 문제만 없다면 투자한다.’는 의사 결정이 이루어졌을 때 진행됩니다. 보통 조합 규약상 회계 실사가 의무인 경우가 많은데요. 회계 실사를 진행할 경우, 꽤 오랜 기간이 걸리므로 라운드 진행 시 일정을 함께 고려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용 부담
일반적으로 투자 성사 시 회사에서, 결렬 시 투자사 측에서 부담합니다. 아닌 경우들도 있으니 심사역 분과 미리 협의 및 확인하고 진행해 주세요.
진행 단계별 소요 기간
VC의 의뢰로 회계법인에게 사전 서류 준비 요청을 받아 회신을 보내면, 이후 현장 방문 일정이 정해집니다. 현장 방문은 보통 1~2일 소진되지만 회사 규모에 따라 일정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방문 후 보고서 작성에 1~2주가 소요되므로 회계 실사 요청 후 완료까지 2~6주가 걸립니다. 일정을 미리 논의하고, 넉넉한 시간을 예상하며 진행해 주세요.
회계 실사 소요 기간
💡 쿼타북 Tip)
실사 진행 전 단계에서 심사역과 미리 진행 여부와 일정에 대해 논의하면 일정을 더 잘 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라운드에 여러 투자자가 참여하는 경우, 회사 쪽에서 대응 리소스가 많이 들 수가 있는데요. 이때 공동으로 실사를 진행하거나, 주관 기관의 양해를 구하고 다른 투자사들이 주관기관의 회계실사로 갈음하면 대응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다음은 ‘투자심의위원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실사를 통해 회사의 면면을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투자심의위원회’가 진행됩니다. 아래와 같은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투자 리스크와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동료들과 함께 토의하는 단계입니다.
실사를 통해 회사의 면면을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투자심의위원회’가 진행됩니다. 아래와 같은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투자 리스크와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동료들과 함께 토의하는 단계입니다.
– 투자 대상 기업이 속한 시장의 현황 및 경쟁 양상- 회사의 구성원 및 시스템- 사업 모델- 경쟁사들의 동향 대비 회사의 경쟁 우위- 미래 기업가치 등
투자사에 따라 형태 및 단계가 다양하지만, 보통 2회에 걸쳐 예비투심/본투심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차 예비투심
투자사 내부의 투심 위원(또는 실무진)들끼리 담당자의 투자 검토 내용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입니다. IR 시간에는 다 파악하기 힘들었던 회사의 강점/약점에 대해 치열하게 논의합니다. 이때 공격적인 질문이 다수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회사가 아니라 담당 심사역이 대응해야 합니다. 앞선 실사 및 미팅 과정에서 심사역들이 회사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어야 이 과정을 잘 통과할 수 있습니다.
💡 쿼타북 Tip)
이 단계에서 Term sheet을 협의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Term Sheet은 ‘서로 지켜나가기로 협의된 주요 계약 사항들에 대한 요약문’으로, 쿼타북 블로그에서 향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에 있어서, 회사의 탄탄함뿐만 아니라 ‘투자 계약 조건’들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때문에 예심 단계에서부터 함께 논의되어야 향후 ‘투자 계약 조건’을 이유로 투자 결정이 번복될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텀싯 화면 예시
2) 2차 본투심
예비투심을 통해 어느 정도 투자에 대한 컨센서스가 이루어지고, 예비투심에서 요청이 나왔던 보완사항들이 잘 갖춰지면 본투심이 진행됩니다. 이때는 투자 재원으로 활용되는 펀드의 투심 위원(또는 경영진)들이 참여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펀드는 규약상 본투심 진행 시 출자자에게 5영업일 전에 공지하도록 되어있는데요, 해당 공지를 받고 출자자분들이 본투심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본투심 진행 및 의사 결정 정도는 투자사별로 매우 다양한데요, 간단하게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납입 전까지는 투자 받은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지만 그래도 어떤 타입의 투자사인지 파악해두시면 납입 성공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타입 1.
최종적인 투자 논의를 진행하는 단계.
IR, 예비투심에서 나온 우려 사항들을 모두 확인하며 논의가 진행됨. 이전까지 아무리 투자에 긍정적이었어도 결과를 단정할 수 없음.
타입 2.
실사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실질적인 의사 결정은 IR 및 예비투심 단계에서 이루어져 있어 큰 문제가 없으면 투자가 결정됨.
타입 3.
아예 기존과 다른 투심위원들 및 자문위원들이 참여하여 의사 결정하는 단계.
완전히 새로운 논의가 진행되기도 하므로 심사 담당자 입장에서 투자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움.
타입 4.
의사 결정을 해나가는 논의 중 하나로 3차, 4차 투심 등이 진행되는 전 단계.
투자사의 루틴 프로세스로 잡혀있지는 않고 투자 의견이 갈릴 때 예외적으로 발생하는 케이스.
💡 쿼타북 Tip)
본투심 진행 전에 계약서 초안을 미리 요청하세요. 본투심까지 완료된 후에는 납입까지 무사히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칫 투자가 취소될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 조심하게 됩니다. 그래서 계약서의 내용을 조율하고 싶어도 이야기를 꺼내지 못하는 경우들이 생깁니다. 본투심 이후에 상세 계약 내용을 조율하더라도, 본투심 전에 초안을 살펴보고 큰 틀에서 문제가 없도록 협의를 진행해두세요.
계약서를 살펴보실 때 참고용으로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한국벤처투자에서 제공하는 투자계약해설서 모음
본투심까지 완료되었다면, 이제 투자금이 납입될 가능성은 98% 이상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투자사별로 예비투심, 본투심, 실사 각 단계의 순서와 소요 기간에 차이가 있으니 담당 심사역 분들과 논의하면서 일정을 예측해 주세요.
이제 마지막, 계약 및 납입 단계가 남았는데요, 해당 챕터에 앞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투자 계약 관련 용어 및 주의사항’을 먼저 다룰 예정입니다.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의 결실이 결국 계약서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여러분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쿼타북에서 계약에 대한 상세한 글을 준비해보겠습니다! 🙂
혹시 쿼타북이 더 깊이 다뤄주길 바라는 주제가 있거나, 질문이 있으시다면 남겨주세요. 많은 분들이 관심 있어 하시는 주제를 먼저 다룸으로써, 더욱 도움이 되는 쿼타북이 되겠습니다.
→ 질문하러 가기
키워드에 대한 정보 투자 심사 보고서
다음은 Bing에서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47강] VC투자 프로세스
- startup
- beyondstartup
- Seoulstartuphub
- seoulstartup
- 스타트업
- 서울창업허브
- 창업
- Entrepreneur
- 기업가
- 창업자
- CEO
YouTube에서 투자 심사 보고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47강] VC투자 프로세스 | 투자 심사 보고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