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3403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experience-porthcawl.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experience-porthcawl.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로빈의 역사 기록 / Robin’s Historical Records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7,847회 및 좋아요 78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부여 #옥저 #동예 #삼한 #마한 #진한 #변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원삼국 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또한 다양한 시설을 구축한 부여, 삼한, 고구려, 옥저, 동예 등의 초기 국가가 다수 등장하게 된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2/10/2022

View: 3467

3. 여러 나라의 발전 – 우리역사넷

이 무렵에 등장한 국가로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가 있었으며,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는 삼한의 여러 나라가 일어났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ontents.history.go.kr

Date Published: 5/30/2021

View: 2947

초기 국가 요약정리(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초기 국가 요약정리(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이후 역사 – 동부여 멸망(by 고구려 광개토대왕), 북부여 멸망(by 고구려 문자왕) …

+ 여기를 클릭

Source: skyblue607.tistory.com

Date Published: 6/18/2021

View: 569

[스크랩]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의 발전 – 다음블로그

철기시대 여라나라의 성장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의 발전 1. 부여 위치는 송화강 유역, 국가형태는 연맹왕국이다.

+ 더 읽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6/25/2022

View: 2274

초기 국가들의 비교 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SOY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위치. 송화강(장춘,농안). 압록강(졸본, 국내성). 함흥평야. 함경도, 강원. 한반도 남부. 성격. 중국과 우호.

+ 여기를 클릭

Source: desert.tistory.com

Date Published: 4/16/2022

View: 9152

[전근대사]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 읏차, 잇(IT)차

초기 여러 나라가 있었으니.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5나라이다. 학습 Point. 각 나라의 특징(위치, 정치, 풍습, 제천행사)만 확실하게 외워두면 …

+ 여기를 클릭

Source: accompani-i.tistory.com

Date Published: 10/20/2022

View: 738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Author: 로빈의 역사 기록 / Robin’s Historical Records
  • Views: 조회수 47,847회
  • Likes: 좋아요 786개
  • Date Published: 2022. 3. 2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O_YpseUapU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삼국 시대(原三國時代) 또는 열국 시대(列國時代)는 기원 전후로부터 기원후 2세기 중반까지의 초기 철기 시대 이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한다.[1] 한반도에서 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전 300년부터 기원후 300년까지 600년을 원삼국이라 부르기도 한다.[2]

이 시기에는 철기문화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농경의 개선, 목축의 성행, 어업의 발달 등과 같은 산업의 전반적인 발달과 함께 여러 계통의 문화가 융합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시설을 구축한 부여, 삼한, 고구려, 옥저, 동예 등의 초기 국가가 다수 등장하게 된다.

해당 시대의 국가들 [ 편집 ]

개관 [ 편집 ]

한의 군현(郡縣)이 쇠퇴함에 따라 토착 사회의 여러 부족 국가는 통합의 추세를 보였다. 이런 형세 속에서 고대 국가로 등장하게 된 것이 이른바 신라·고구려·백제의 삼국이었다. 그 당시 삼국은 각기 대륙의 위진 남북조(魏晉南北朝) 문화를 수용하고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국가 체제를 갖추는 한편,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철기 문화를 재편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삼국은 고대 국가적 체제를 갖출 때 동일한 세기 계층을 가진 것이 아니어서 고구려와 백제 사이에는 약 2세기, 신라와 고구려는 약 3세기, 신라와 백제의 사이에는 약 1세기 정도의 연차(年差)가 있었다. 이러한 연차는 곧 삼국이 부족 국가로 남아 있던 세년(歲年)의 길고 짧음을 비교케 하는 동시에 삼국 사회 발전의 지속상(持續相)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부여 계열의 일파로 고(故) 현도에서 일어난 고구려는 원래 주위에 많은 강적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과의 싸움 속에서 초기 부족 연맹을 형성하여 갔다. 6대 태조왕 때에는 부족 연맹 세력의 영도권이 확립되어 고대 국가 성립을 위한 일련의 노력을 기울였다.

고구려의 대외 관계는 중국과 새외(塞外)의 관계가 병행하고 있어서 문화상으로나 정치·경제상으로 중국 일변도에 빠진 것은 아니었다. 이리하여 삼국 중 고구려는 대(對)한족 투쟁 세력으로서 먼저 대두하여 북방에서 충분히 자립성을 가지면서 고대 국가를 성립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전반적인 면에서 볼 때 고구려사의 전개가 적극적이었던 원인은 그 사회 기반의 급속한 발전이라든가, 그 지리적 위치에서 오는 이점(利點)이라든가 또는 전사(戰士)조직체적인 기동성이 강한 사회 제도라든지 기타를 들 수 있다. 이와 비등할 만한 하나의 요인으로서 고구려는 다른 토착 사회가 오랫동안 중국의 식민지인 군현과 교통함에 그치는 데 반하여 고구려는 그렇지 않아서 동천왕 때는 오(吳)와 통교하기도 했으며, 새외 민족과도 외교관계가 있어서 국제 관계상의 자기 위치를 일찍부터 자각했다는 것이다. 물론 성장 과정에서 공손씨(公孫氏)의 침입, 관구검(毌丘儉)의 침입, 전연(前燕) 모용씨(慕容氏)의 침입 등 많은 압력을 받았지만, 그러한 침입에 대한 항쟁 과정이 곧 고구려 고대 국가의 설립 과정이었다.

십제가 어떠한 경로를 거쳐 부족 연맹국가로 발전했는지는 분명치가 않다. 본래 한강 이남 지역에는 토착 세력으로 목지국(目支國)이 있어 마한왕으로 군림하고 있었으며, 마한 뿐 아니라 변한과 진한에서도 종주권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북의 고구려 지역에 있었던 토착민인 예군(濊君)·남려(南閭)에 대등할 만한 세력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삼한 지역에 한4군의 성립, 고조선 사회의 해체 등으로 인해 유이민(流移民) 집단들이 남하하여, 수많은 유이민과 토착족 들이 국가를 이루어 각처에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목지국의 지배력은 한강 유역엔 집중되지 못하였다. 게다가 여기서 낙랑·대방의 토착 사회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조종책이 있어 이 지역에서의 국가 형성 세력의 형성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십제는 위에서 이야기한 유이민 집단의 하나로서, 여러 유물들로 미루어 보아 부여계로 추정된다. 이들은 한강 북쪽 지역인 지금의 서울 부근의 위례(慰禮) 부락에 도읍을 정하고 부족 국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이들은 한강 남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이며,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유적이 이를 뒷받침한다. 십제가 진정한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는 것은 고이왕(古爾王) 때였던 것 같다.

십제 왕실은 고구려의 한 갈래로서 고구려의 시조 전설과도 관련이 있으나, 한강 유역에 고구려와 같은 6부족 조직의 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고구려만큼 강력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사회가 지배 기구를 성립시킬 때, 자연히 낙랑·대방이 그 주위의 토착 사회에 준 영향력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지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십제는 그 영역을 5방으로 나눠 정비할 때 고구려를 본받은 것 같으나 그렇지 않다. 즉 5방(五方)의 이름에서 부족명이 나타나지 않는다거나 8대성(八大姓)이 십제 왕실과 관련이 적은 세력이라든가가 그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관제에서도 고구려적인 성격보다 정비된 중국의 관제를 모방하여 6전(六典) 조직의 모습까지도 나타나고 있다.

동쪽의 고요한 나라였던 신라가 삼국의 세력 판도에 등장한 것은 고구려가 이미 그 절정을 맞이하려던 때였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발견에 의하면, 한국에서 청동기가 가장 많이 발견된 것은 대동강 유역과 경주 지역이다. 신라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박(朴)·석(昔)·김(金)씨의 시조 설화와 계보로 보아, 대략 3세기 전반에 강국으로 등장하였다. 신라의 시조 설화는 고구려나 백제와는 달리 복잡하게 세가지로 나타나 있다. 이들 3성 부족이 서라벌 일대에 자리 잡고 조직한 초기 부족 연맹에서는 박·석 양(兩) 부족이 토착적인 김부족(金部族)보다 우세하였으므로 부족 연맹장은 미추 이사금을 제외하고는 주로 박·석 양 부족에서 교대로 선출되다가 내물 마립간을 전후하여 김씨 세습권이 확립된 것 같다.

신라의 6촌(六村)과 박·석·김 3부족과의 관계는 초기의 신라 부족 연맹이 박·석·김 3부족이 주체로 되어 있다가 다른 6부족과의 연맹관계로 성장하고, 그 뒤 3부족이 신라의 주체세력으로서 대연맹으로 확대되고, 고대 국가가 형성됨에 이르러서 주체부족들이 서라벌에서 귀족조직을 편성한 것이 6촌 설화로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논란 [ 편집 ]

고고학계에서 원초 삼국시대와 원사시대(Protohistory,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중간)를 합해 규정한 용어가 ‘원삼국 시대’이다. 이 용어에는 우리 역사에서 이 시기에는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뜻이 담겨 있고, 삼국시대 초기(1세기~3세기)를 부정하는 뜻이 된다.[2] 한편 명칭을 두고 고고학적으로 원삼국 시대에 나타나는 특징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나, 원삼국 시대라는 용어가 관행적으로 굳어져 용어가 하나로 통일되지는 않는다. 열국 시대나 삼한 시대로도 불린다.[3]

한편, 역사학계 비주류인 윤내현은 이 시기를 고조선의 제후국들이 독립하게 되어 작은 국가로 나뉘게 된다는 의미로 ‘열국 시대’로 지칭하고 있다. 그의 저술에 따르면 후조선의 왕 기준은 위만에게 왕권을 찬탈 당하여 바다를 건너 마한을 건국하며 고조선은 위만조선이라 일컫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마한의 속국으로 진한과 변한이 건국되며, 규원사화에서는 이 세력을 변진으로 부르며 고시(高矢) 씨의 후예라고 주장한다. 작은 부족국가로 동예와 옥저 등이 건국되었다고 하며, 요서에 자리잡고 있던 고조선의 제후국인 숙신(肅愼), 예(濊), 옥저(沃沮) 등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숙신은 흑룡강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읍루라 불리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예는 강원도에 정착하여 동예(東濊)라고 불리며, 옥저도 함경도 부근으로 이동하여 동옥저(東沃沮)라 불리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대릉하에 자리잡고 있던 낙랑과 대방의 세력은 청천강과 대동강으로 이주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4] 2020년 현재 해남 출신의 윤내현의 이와 같은 주장은 자의적인 사료 해석과 근거 부족을 이유로 일반적으로 학계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다.[5]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우리역사넷

학습 개요 우리 나라의 철기 문화는 기원전 4세기경에 고조선 지역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한반도의 남부 지방에까지 확대되었다. 이 때부터 철로 만든 농기구와 무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로써 청동기 시대보다 농업 생산력과 전투력이 높아져 우리 나라 여러 곳에서 국가가 성립되었다. 이 무렵에 등장한 국가로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가 있었으며,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는 삼한의 여러 나라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나라들은 문화 수준의 차이 때문에 발전의 정도가 달랐다.

학습 문제 1. 철기 문화의 보급으로 어떠한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는가? 2.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어떠한 나라들이 일어났는가? 3. 초기에 형성된 국가들은 어떠한 모습을 지녔는가?

철기 문화의 발전

우리 나라에 철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4세기경부터였다. 처음에는 청동기도 함께 사용되었으나, 기원전 1세기경부터는 철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그리하여 생활 도구와 무기의 대부분은 철로 만들게 되었다. 이에 철을 단단하게 담금질하는 방법도 알게 되고, 철의 생산도 많아졌다.

철제 농기구로는 보습, 괭이, 낫 등이 있었고, 무기로는 칼, 창, 화살촉 등이 있었으며, 공구로는 끌, 도끼, 톱, 자귀 등이 있었다.

철제 농기구(좌)와 무기(우)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경작지의 개간도 쉬워져 농업 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철을 잘 이용한 부족은 철제 무기를 사용하여 세력을 크게 키울 수 있었다. 이 시기의 무덤으로는 널무덤과 독무덤이 있다.

철기가 보급되면서 만주와 한반도에는 여러 곳에서 새로운 국가가 출현하게 되었다. 즉, 북쪽에서는 부여, 고구려, 옥저와 동예가 일어났고, 남쪽에서는 삼한의 여러 나라들이 성립되었다.

여러 나라의 위치

부여

부여는 송화강 유역의 넓은 평야 지대에 자리잡고, 고조선에 이어 큰 국가를 이룩하였다. 왕 밑에 마가, 우가, 저가, 구가와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가 있었다. 마가, 우가, 저가, 구가는 각기 자기들의 소국들을 다스리면서 중앙 관직을 겸하고 있었다. 관리들은 전쟁이 나면 스스로 나가 싸웠다. 하호라고 불리던 백성들은 목축과 농업에 종사하며, 전쟁 때에는 보급품을 운반하였다.

부여의 법률은 매우 엄하여,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종으로 삼았으며,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것의 12배로 갚도록 하였다. 부여의 법률도 고조선의 법률과 마찬가지로 백성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는 데 그 뜻이 있었다.

부여에는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는데, 온 백성들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즐겼으며, 죄인을 풀어 주기도 하였다. 또, 부여 사람들은 흰 옷을 즐겨 입었으며, 왕이 죽으면 평소에 거느리던 사람들을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고구려

고구려는 주몽이 압록강의 지류인 동가강 유역에 건국한 나라이다(기원전 37). 고구려 사람들은 험한 자연 환경 속에서 살았으므로 주변의 다른 나라들을 정복하여 식량 문제를 해결하였다.

고구려는 얼마 후 수도를 압록강 유역의 넓은 국내성으로 옮기고, 주위에 있는 여러 소국들을 통합하여 연맹 왕국이 되었다. 왕 아래에는 상가, 대로, 패자, 고추가, 사자 등의 관리가 있었다.

고구려에서도 백성을 하호라 하였는데, 그들은 농사를 짓고 바다에서 물고기와 소금을 날라 오는 등 생산 활동을 하였다. 고구려의 법률도 매우 엄하여 무거운 죄를 지으면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종으로 삼았다.

고구려에는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는데, 온 백성들이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시조신에게 감사하는 축제를 벌였다. 고구려인들은 무예를 중히 여겨 활쏘기와 말타기를 잘 하였으며, 수렵 대회, 씨름 대회 등을 열어 신체를 단련하기도 하였다. 또, 고구려에는 데릴 사위의 풍습이 있었다.

옥저와 동예

함흥 평야를 중심으로 함경도 해안 지방에는 옥저가 있었고, 그 남쪽에는 동예가 있었다. 이 두 나라는 정치적 발전이 늦었기 때문에 왕은 없었고, 각 부족은 그들의 군장들에 의해 통솔되었다.

옥저는 땅이 기름져서 농사가 잘 되었으나, 고구려의 지배하에 있었으므로 그들에게 베와 소금, 어물 등의 특산물을 바쳤다. 또, 옥저에는 민며느리의 풍습이 있었다.

동예에서는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는데, 역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즐겼다. 또, 같은 씨족끼리는 혼인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산천을 중히 여겨 각 부족이 소유한 산천에는 다른 부족의 출입을 막았다. 또, 읍락끼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았는데, 이를 어기면 소, 말 등으로 갚아야 했다.

삼한(한)

북쪽에서 고조선이 발전하고 있을 때, 한강 이남 지역에는 진이라 불리는 국가가 있었다. 그 후 고조선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에 의해 철기가 보급되면서, 진국 사회도 크게 변화되었다. 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부족들이 각기 소국을 이루고, 그 소국들이 지역적으로 뭉쳐 마한, 진한, 변한의 연맹체를 형성하였다. 마한에는 54개국이 있었고, 진한과 변한에는 각각 12개국이 있었다.

삼한의 여러 나라는 대체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어 있었다. 정치를 맡은 군장들은 나라의 크기에 따라 신지, 읍차 등으로 불렸고, 천신에 제사를 지내는 제사장은 천군이라 불렸다. 또, 소도라는 곳이 있었는데, 이 곳은 죄인이라도 여기에 들어가면 잡아가지 못하는 신성한 지역이었다.

삼한에서는 특히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이 발달하였다. 삼한 사람들은 벼농사를 짓기 위하여 김제의 벽골제, 상주의 공검지, 제천의 의림지 등의 저수지를 만들었다.

의림지(충북 제천)

한편, 변한에서는 철을 많이 생산하여 한의 군현과 일본으로 수출하였으며, 이를 화폐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삼한에서는 씨뿌리기가 끝난 5월과 추수가 끝난 10월에 각각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 때는 온 나라 사람들이 춤추고 노래 부르며 즐겼다. 이것은 풍년을 기원하고 추수를 감사하는 행사로서, 뒷날에 5월 단오와 10월 상달의 풍속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초기 국가 요약정리(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반응형

부여

위치 – 만주 쑹화강 유역 // 국가 형태 – 연맹 왕국(5 부족 연맹체) 왕+마가,우가,저가, 구가

지배층 – 왕, 마가, 우가, 저가,구가 (사출도) // 경제 – 반농 반목, 말, 주옥, 모피 (특산물)

제천행사 – 영고 (12월), 수렵 사회의 전통 // 사회 모습 – 순장, 1 책 12 법, 우제점복, 형사 취수제

이후 역사 – 동부여 멸망(by 고구려 광개토대왕), 북부여 멸망(by 고구려 문자왕)

(초기) 고구려

위치- 압록강의 지류인 동가강 유역의 졸본 지역//국가 형태- 연맹 왕국(5 부족 연맹체) 계루부, 소노부, 순 노부, 절노부, 관노부

지배층 – 왕, 상가, 고추 가등 대가(밑에 사자, 조의, 선인) // 경제 – 주변의 소국을 약탈, 약탈물을 부경에 보관

제천행사 – 동맹(10월), 국동대혈에서 거행 // 사회 모습 – 서옥제(예서제), 1 책 12 법, 형사 취수제

이후 역사 – 나·당 연합군에 멸망(668)

옥저

위치 – 함경도의 동해안 지역 // 국가 형태 – 군장 국가 // 지배층 – 군장(읍로, 삼로) 경제 – 토지 비옥, 소금과 해산물 풍부, 고구려에 약탈당함 // 제천행사 – 전하지 않음 사회 모습 – 민며느리제(예부제), 가족 공동묘(목곽) // 이후 역사 – 고구려, 태조왕에게 멸망

동예

위치 –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 지역 // 국가 형태 – 군장국가 // 지배층 – 군장(후, 읍군, 삼로) 경제 – 방직 기술 발달, 단궁, 과하마, 반어피(특산물) // 제천행사 – 무천(10월) 사회 모습 – 족외혼, 책화(영역 중시), 철자·여자형 집터 이후 역사 – 고구려 태조왕 때 대부분 복속당하고, 고구려 광개토대왕 때 잔여 세력 멸망

삼한

위치 -마한(경기, 충청, 전라), 변한(낙동강 하류), 진한(경북 지역) //국가 형태 – 연맹 왕국(마한의 목지국 중심), 군장국가 지배층 – 왕(목지국에서 배출), 대군장(신지, 견지), 소군장(읍차, 부례) //경제 – 벼농사 발달(두레), 철 풍부(변한) 제천행사 – 수릿날(기풍제)(5월), 계절제(상달제)(10월), // 사회 모습 – 소도(천군의 영역)→제정 분리 사회, 귀틀집, 주구묘 이후 역사 – 마한은 백제로 발전, 변한 은 가야로 발전, 진한은 신라로 발전

초기 국가

반응형

철기시대 여라나라의 성장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의 발전

1. 부여

위치는 송화강 유역,

국가형태는 연맹왕국이다.

5부족 연맹체로 왕도 부족장이었다.

군장은 마가, 우가, 저가, 구가 / 대사자, 사자이며

반농반목의 경제생활을 하였다.

특산물은 말, 모피, 주옥이다.

제천행사로 12월에 ‘영고’가 있었고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형사취수제라는 일부다처제의 결혼 풍속이 있으며

법률로는 1책12법이 있다.

4출도와 은력, 우제점법이 있었다.

3세기때 선비족의 침략으로 쇠퇴하다

494년, 문자왕때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사람들의 체격이 매우 크고 성품이 강직 용맹하며 근엄하고 후덕하여 다른 나라를 노략질 하지 않았다…

2. 고구려

동가강 유역의 고구려는 부여처럼 5부족 연맹체의 연맹왕국이었다.

군장은 상가, 고추가, 대로, 패자 등으로 불렸으며

약탈경제로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하였고

데릴사위제의 결혼풍속이 있다.

법률 역시 부여와 마찬가지로 1책 12법과

우제점법이 있었으며,

고구려는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였다.

사람들의 성품은 흉악하고 급해서 노략질하기를 좋아하였다.

3. 옥저

함흥평야에 위치한 옥저는

연맹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군장국가에 머물렀다.

군장은 삼로와 읍군으로 불렸으며

특산물로는 해산물과 5곡이 있다.

가족공동묘인 두벌묻기의 장례풍습과

계약결혼인 민며느리제의 결혼풍속이 있다.

고구려 태조왕에게 복속되었다.

옥저는 큰 나라 사이에서 시달리고 괴롭힘을 당하다가 마침내 고구려에게 복속되었다…

4. 동예

강원북부, 원산만 부근에 위치한 동예 역시

군장국가에 머물렀으며 삼로, 읍군의 군장이 있었다.

방직 기술이 발달하였고 과하마, 단궁,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다.

과하마는 키가 작은 말,

반어피는 바다표범가죽이다.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고

족외혼의 풍습과 책화가 있었으며

옥저처럼 고구려 태조왕에게 복속되었다.

예의 풍속은 산천을 중요시하여 산과 내마다 구분이 있어 함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5. 삼한

한강 이남지역의 마한/진한/변한을 삼한이라 하는데

연맹왕국의 국가형태였다.

신지, 견지 > 읍차, 부례의 군장이 있었으며

신지, 견지가 저수지 관리권을 갖고 있어 읍차, 부례보다 권력이 있었다.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특히 변한은 철을 수출하였다.

5월에 ‘수릿날’, 10월에 ‘계절제’의 제천행사가 있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풍인 두레와

제정분리(소도), 귀틀집, 초가집 등의 특징이 있으며

마한은 백제로,

진한은 신라로,

변한은 가야로 각각 발전하였다.

귀신을 믿어서 나라의 읍들이 각기 한사람씩 세워 천신에게 제사하는 것을 주관케 하였으니 그 이름을 천군이라 하였다…

* 사회발전단계 *

구석기(무리사회) -> 신석기 (부족사회) -> 청동기 (군장사회-군장국가) -> 철기 (연맹왕국-중앙집권국가)

* 부여, 초기 고구려, 동예, 삼한의 사회구조 *

-상호 : 하호를 지배하여 권력행사

-하호 : 양인, 국가에 조세와 역을 부담

-노비 : 인권을 갖기 못한 채 잡역에 종사

* 부여와 고구려의 공통점 * -5부족 연맹체 -대관리의 칭호에 가, 소관리의 칭호에는 사자 -1책12법 -우제점법 -제천행사 -부여족의 일파 -상호, 하호(일반백성), 노비의 사회구조 -형사취수제

* 제천행사의 사회적 기능 *

-부족간의 단결강화,

-계급간의 갈등 해소

출처 : 소소한 일상 & 배움

글쓴이 : ☆칸쵸☆ 원글보기 : ☆칸쵸☆

메모 :

[전근대사] 부여

반응형

초기 여러 나라가 있었으니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5나라이다

학습 Point

각 나라의 특징(위치, 정치, 풍습, 제천행사)만 확실하게 외워두면 된다

<부여>

위치 : 만주 송화강 유역 평야지대 (동이 지역 중 가장 넓고 평탄한 것이 특징)

정치 : 왕 + 마가,우가,저가,구가 = 5부족 연맹체 : 4출도(사출도)

왕권 미약

cf) 1세기 초에 이미 왕호 사용 / 고구려와 동일

특산물 : 평탄한 평야지대 연상해서 말, 주옥, 모피

풍습

– 순장(계급이 높은 사람들이 죽으면 계급 낮은 살아있는 사람을 같이 묻어..;; -> 죽어서도 누리라고)

– 여섯 가축의 이름으로 관명을 정함

– 장례 도구로 옥갑 사용 (=후장)

– 장사를 후하게 지냈고 곽을 사용했지만, 관은 사용하지 않았다.

– 간음자, 투기한 부인->사형(일부다처제)

– 살인죄->사형

– 절도죄 -> 12배 배상 = 1책 12법 / 고구려와 동일

– 형사취수제 : 지배층의 혼인 풍습 / 고구려와 동일

– 우제점법 : 소를 죽여 말 굽으로 길흉을 점침 / 고구려도

– 흰색 옷과 가죽신 즐겨신음

– 제천행사 : 영고 (12월, 수렵사회 전통 의미)

<고구려>

위치 : 졸본 산간지역/ 압록강 유역(산지가 많았기 떄문에 약탈경제로 살아갔다)

cf) 천도 : 졸본성->국내성

정치

– 5부족 연맹체 (계루부, 절노부, 소노부, 관노부, 소노부)

cf) 1세기 초에 이미 왕호를 사용함 / 부여와 동일

– 왕 아래 군장을 두었음(고추가, 상가, 대로, 패자)

cf) 이들의 회의를 제가회의라고 한다

풍습

– 서옥제 : 노동력을 중시했기 때문에, 신부 집에 서옥을 짓고 자식을 낳고 자식이 크면 다시 신랑집에 돌아가는 제도

cf) 서옥제는 노동력, 모계사회 의미

– 국동대혈 제사(주몽과 유화부인)

– 1책 12법, 형사취수제 / 부여와 동일

– 부경 : 약탈 경제로 인해 창고같이 쌓아두는 곳이 있었음

– 장례 때 금, 은, 돈, 폐백을 후하게 함(=후장)

– 무덤형식 : 돌무지무덤 (주변에 소나무, 잣나무 심음)

– 특산물 : 맥궁

– 제천행사 : 동맹(10월)

cf) 거처의 좌우에 큰 집을 지어 귀신을 제사 하기도..

cf) 영성과 사직 및 기자신에게도 제사

<옥저>

위치 : 함경도 동해안(동해이기 때문에 해산물 풍부 / 매년 소금, 어물 고구려에게 바침)

정치 (옥저=동예)

– 왕 X

– 군장이 다스림(후, 읍군, 삼로)

풍습

– 민며느리제(매매혼) : 여자가 크기전에 미리 남자 집에서 성장하고 남자가 여자측에 예물을 주고 혼인(노동력을 산다고 해서 매매혼)

– 골장제 : 가족 공동묘 – 쌀항아리(시체를 가매장하고 뼈를 추려서 가족무덤인 목곽에 넣음 그리고 입구에 쌀항아리를 매달아 놓음)

– 제천행사 X

<동예>

위치 강원도 북부 동해안 (역시 동해안이기 때문에 해산물이 많음)

정치 (옥저=동예)

– 왕 X

– 군장이 다스림(후, 읍군, 삼로)

– 특산물 : 단궁, 반어피, 과하마

– 책화 : 다른 부족의 영역 침범 시 노비, 소, 말로 변상(폐쇄적인 씨족사회 전통)

– 족외혼 (다른 씨족과 혼인을 치룸)

– 사람이 죽거나 병을 앓은 집이 있으면 옛날집을 버리고 새집을 지어서 삶

– 집터형태 : 철자형, 여자형 집터

– 방직기술의 발달

– 제천행사 : 무천(10월)

<삼한>

위치 : 한반도 남부지역(저수지가 많아 벼농사 활발)

정치 : 연맹왕국 (마한, 진한, 변한)

마한 : 54국 -> 대빵 : 목지국 / 진한 : 12국, 변한 : 12국

삼한의 군장 : 대군장 : 신지, 견지 / 소군장 : 부례, 읍차

풍습

– 제정 분리(군장 : 정치적 지배자, 천군(제사장) : 제사 주관(소도 : 신성지역))

cf) 소도는 솟대를 세워 신성한 곳임을 표시했다

– 주거 형태 : 초가 지붕의 반움집, 귀틀집

– 편두 풍습 : 아이가 태어나면 돌로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함(머리폭이 좁다)

– 문신 풍습

– 두레(공동 노동 조직) : 벼농사가 활발하였기 때문에 공동 조직 두레가 있었음

– 변한=>철생산 ->낙랑,왜 수출 / 철을 교역에서 화폐(덩이쇠)처럼 사용

– 마한 장례 : 소와 말 순장 / 진한, 변한 장례 : 새의 깃털을 함께 매장

– 무덤 형태 : 주구묘(마한), 옹관묘(=독무덤, 마한)

– 광주 신창동 현악기 : 현존 최고 악기

– 제천행사 : 수릿날(5월), 계절제(10월)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다음은 Bing에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YouTube에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여,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의 역사 한번에 다보기 l 한국사 4부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